목차
- 긍정적 상호작용의 중요성
- 경청하기
- 반영적으로 말해주기
- 효과적으로 칭찬하기
- 효과적으로 갈등 중재하기
- 개방적으로 질문하기
- 긍정적 상호작용이 영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요약표: 긍정적 상호작용 핵심 정리
1 긍정적 상호작용의 중요성
영유아 시기는 인지, 정서, 사회성 발달의 기초가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 교사나 부모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느냐에 따라 아이의 자존감, 학습 동기, 사회적 기술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히 경청, 반영적 대화, 효과적 칭찬, 갈등 중재, 개방적 질문은 긍정적 상호작용의 핵심 요소입니다.
2. 경청하기
다른 사람의 말을 주의 깊게 들으며 공감해 주는 것
2.1. 경청의 중요성
교사의 경청은 영유아의 자존감 형성 및 경청 태도 형성에 영향
2.2. 경청을 위한 실천 팁
영유아의 이야기에 온전히 집중함 (영유아가 말하는 중에 다른 일을 동시에 하지 않음)
자세를 영유아의 눈높이와 맞추고 따뜻한 눈빛으로 영유아의 눈을 바라봄
영유아가 말할 때 내가 잘 듣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바디랭귀지를 사용함
영유아가 말하는 중에 끼어들지 않도록 하되, 교사가 듣고 있다는 것을 확신시켜 주기 위해 가끔씩 간결한 피드백을 해 줌
영유아의 이야기를 들으며 판단하지 않도록 함
2.3. 경청의 5단계와 공감적 경청
경청은 단순히 듣는 것이 아니라 공감하는 과정입니다.
- 무시하기 (X)
- 듣는 척하기 (X)
- 선택적 경청 (일부만 듣기)
- 집중적 경청 (말에 초점 맞추기)
- 공감적 경청 (감정까지 이해하기) ✅
"공감적 경청"이 영유아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에서 가장 중요합니다!
3. 반영적으로 말해주기: 영유아의 의도를 이해하고 표현하기
영유아가 한 말을 앵무새처럼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 영유아가 의도한 의미를 유지한 채 교사의 말로 바꾸어서 반영해 주기
의문문형태로 발문 하지 않기
말하는 중에 조급하게 반영하지 않기, 영유아가 틀렸다고 말할 때는 그대로 수용해 주고 잘못 반영한 이유에 대해 부연 설명하기
4. 효과적으로 칭찬하기
칭찬은 도파민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촉진시켜 행복감 upup 자신감 up 동기부여 up
그러나 잘못된 칭찬은 오히려 영유아에게 독이 될 수 있음
4.1. 잘못된 칭찬 vs. 효과적인 칭찬
능력보다는 노력, 결과보다는, 과정 지향적으로 칭찬하기
무엇을 칭찬하는지 구체적으로 칭찬하기
4.2. 과정 중심 칭찬의 중요성
- 능력 칭찬 → 실패 시 두려움 증가
- 과정 칭찬 → 도전 정신 향상
5. 효과적으로 갈등 중재하기: 사회적 기술 배움의 기회
영유아 간 갈등상황은 교사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느냐에 따라 공감 및 사회적 기술을 배우는 좋은 배움의 기회가 됨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 유형은 억압형, 방임형, 정서코칭형, 축소전환형으로 구분가능
5.1.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형
- 억압형 ("너희 둘 다 그만해!") → 불만 증가
- 방임형 (무시) → 갈등 악화
- 정서코칭형 ("화났구나. 어떻게 해결할까?") ✅
- 축소전환형 ("다른 거 할래?") → 문제 회피
6. 개방적으로 질문하기
개방형 질문은 영유아의 흥미와 사고를 확장시켜 주고 능동적 학습유도
개방형 질문은 영유아가 원하는 어떠한 방식으로든 자유롭게 대답할 수 있도록 허용
7. 긍정적 상호작용이 영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경청, 반영적 대화, 효과적 칭찬, 갈등 중재, 개방적 질문은 영유아의 정서적 안정감, 사회성, 학습 동기를 키우는 핵심 요소입니다. 교사와 부모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 아이가 건강한 자아를 형성하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8. 요약표: 긍정적 상호작용 핵심 정리
구분 | 핵심 전략 | 실천 방법 |
---|---|---|
경청 | 공감적 경청 | 눈높이 맞추기, 간결한 피드백 |
반영적 대화 | 의도 이해해 말하기 | 앵무새 반복 X, 감정 반영 O |
칭찬 | 과정 중심 칭찬 | "노력했구나!" (구체적 표현) |
갈등 중재 | 정서코칭 | "어떻게 해결할까?" (협상 유도) |
개방형 질문 | 사고 확장 | "어떻게 생각해?" (자유 응답 유도) |